도덕경(道德經)
1. 저자 : 노자(老子, 연대미상, 공자 전후로 추정)
2. 출판 : 중국 춘추전국시대
3. 유형 : 도교경전
4. 관련중요사항
(1) 도(道)의 형이상학
* 인간이 살면서 겪는 고뇌를 초극(超克)하기 위한 철학
* 자연에 관심을 두고 있는 듯하지만, 그 이면에는 인생의 의미에 대한 물음이 숨어 있음
* 노자의 은둔적 정신에는 정치적 억압과 경제적 수탈에 대한 회의와 비판이 들어 있음
* 노자는 기존 유가사상이 강조하는 천(天)을 사회를 조직화하는 억압적 허위로서 비판
* 자연을 자연 그 자체로서 이해하고자 함
* 억압적 허위에 입각한 문화적 행동들이 곧 유위(有爲)임
* 진정한 천도(天道)란 관념적 도덕화를 벗어난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성질을 지님
* 무위자연이라는 말은 자연에 합치하는 능력을 길러 기존의 삶의 양식을 비판적으로 변화시켜간다는 적극적 실존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음
(2) 도(道)의 성격
* <도>는 창조적 생명의 원리이며 그 작용은 영원함
* 영원한 창조성은 부성적인 지배와 압제의 이미지가 아니라 모성의 이미지로 이해됨
* <도>는 대지의 아래에서 부드러운(柔) 물처럼 운동함
* 만물은 하나의 <도>로부터 분화되어 나온 것임
* <도>는 多數性(만물)의 근거이면서 그것들을 통일하는 一者性임
* <도>를 통찰한 인격 즉 성인(聖人)은 만물과 대지의 존재의미를 체현한 인간임
* <도>는 언어(言)나 개념(名)으로는 포착될 수 없음
* 언어나 개념으로 포착될 수 없다는 의미에서 노자는 <도>를 무(無)라고 묘사함
* 천지(天地)가 유(有)라면 <무>인 <도>는 천지의 시원(始原)임
* <도>는 생산(生)하면서 스스로를 변형시키고 전개하는 생명의 원천임
* <도>의 자연적 생산활동은 만물의 자발적 변화(自化)에 대해 의도적으로 개입하여 왜곡시키거나 기적을 일으키지 않음
* 이런 의미에서 <도>는 전체로서의 만물의 자연적 이법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음
* 만물의 자연적 이법인 <도>를 직관적으로 체험하는 인격
= 사사로운 인위적 욕망에서 해방된 자유인으로서의 성인임
* 인간 역시 <도>로 돌아가면 자연과 적대하거나 투쟁하는 삶이 아니라, 자연을 삶의 의미이자 근거로서 이해하게 됨
* 자연을 삶의 의미이자 근거로서 이해하면서 사는 삶은 생명성과 포용성이라는 내적 능력을 세상에 실현할 수 있는 우주적 인격으로 거듭난 삶임
(3) 덕(德)의 의미
* <덕> = <도>가 자기를 나타내는 능력
* <덕> = <도>의 고유한 행동방식
* “최상의 덕은 무위이고 의도적으로 행함이 없다.(上德無爲而無以爲)”(도덕경38장).
* <덕> = 자연의 근본적 본성
* <덕> = 인간이 자연에 합치하는 삶을 선택할 때 인간의 덕으로 전화함
* 정치에 관심이 많았던 노자는 <덕>을 주로 왕들에게 권고했음
* 성인은 감각적 생활을 버리고 본연의 자아를 취함
* 본연의 자아를 취하는 과정 = 정신의 자기 회복 과정
= 마음의 청명한 고요(淸靜)에 도달함으로써 생명의 자발성을 회복하는 과정
= 생명력을 집중하여 부드러움을 성취하는(專氣致柔) 자기인식과 자기 수련의 과정
* 인간의 삶은 어린이로서의 성인을 지향하는 데에서 완성됨
* <덕>은 지배집단의 강압적 능력도 아니고 도덕적 형식 또는 법칙도 아님
* <덕>은 경쟁적 성공을 꿈꾸는 다수자들의 가치관에 역행하는 소수자의 저항적 유약성
* 노자가 주장하는 삶의 양식 = 원한으로 물든 은둔이거나 투쟁이 아니라 자신의 내밀한 덕을 표출함으로써 스며들 듯이 세계를 침식해 가는 평화의 삶의 양식임
(4) 유가적 태도에 대한 노자의 비판
* 노자는 문명(文)의 계승과 발전에서 인간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유가적 태도가 갖는 무반성성을 깨우치려 함
* 문명권의 지혜와 도덕은 자신의 비도덕성과 야만성을 자각하지 못함
* “위대한 <도>가 폐기되니 인과 의가 있게 되었고, 지혜가 나오니 커다란 허위가 있게 되었으며, 모든 친족관계가 화목하지 않게 되니 효와 자애가 있게 되었고 국가가 혼란하니 충신이 있게 되었다.(大道廢, 有仁義, 智慧出, 有大僞, 六親不和, 有孝慈, 國家昏亂, 有忠臣)”(도덕경18장)
* 유가적 가치는 역사적 결과인 기존의 질서를 거의 자명한 것으로 전제하고 현존의 제도를 파괴되지 않도록 하려는 안이한 수구적 태도에서 나온 것임
* 유가가 받아들이게 되는 보수적 가치는 권력의 압제를 느슨하게 하면서 문명질서를 유지하려는 비도덕적 도덕임
(5) 노자의 정치관
* 노자는 정치기구 내부에 들어간 공자와 맹자와는 달리 정치기구 밖에서 비판적으로 정치에 관여했음
* 노자는 군주의 존재자체를 제거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군주에게 생명존중의 덕을 충고하고자 했음
* 정치의 정당성은 자연의 문명화가 아니라 문명의 자연화에 있다고 봄
* 노자가 제시하고 있는 이상적 사회는 문명적 역사에서는 실현될 수 없는 무역사적 사회
* 노자가 말하는 작은 나라 적은 백성(小國寡民)의 사회
= “군대의 무기가 있어도 사용하지 않으며, 백성들로 하여금 죽음을 중히 여기게 하여 멀리 옮겨가지 않도록 하고, 배와 수레가 있어도 탈 것이 없으며, 갑옷과 무기가 있어도 진열하는 것이 없고, 백성으로 하여금 다시 새끼줄을 매어 문자로 사용하게 하는(使有什伯之器而不用, 使民重死而不遠徒, 雖有舟輿無所乘之, 雖有甲兵無所陳之, 使民復結繩而用之)”(도덕경80장) 사회
= “이웃나라끼리 너무 가까워 닭이나 개의 소리가 들릴 정도이며 백성들은 죽을 때까지 서로 왕래하지 않는”(도덕경80장) 가라앉은 사회
* 이러한 시원적 사회가 갖는 비폭력성과 무계급성, 무소유와 검소 및 정신적 안정성은 문명의 광포한 맹목성을 반성하게 함
(6) 노자 사상의 의의
* 노자의 철학은 장자와 결합하여 아시아인들의 삶의 고뇌를 용해시키거나 억압통치에 대한 저항의 정신적 근거로서 작동하여 왔음
* 노자의 사유는 타인을 위하기에 앞서 타인을 위하는 태도 자체를 반성적으로 음미하게 하고 자신의 삶을 문제로서 제기하고 음미하는 삶을 촉구하고 있음
'**東 洋 古 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민심서(다산 정약용),기측체의(최한기) (0) | 2007.12.18 |
---|---|
정도전 -삼봉집- (0) | 2007.12.18 |
일연의 삼국유사 (0) | 2007.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