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금문의 대미를 모공정(毛公鼎)으로 장식하면서 그 동안 중국의 고대사에 속하는 은과 주에서 사용된 문자, 갑골문과 금문에 대하여 살펴 보았습니다.
<모공정>
이 금문은 현존하는 금문 중 가장 많은 글자로 32행 497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문장 또한 전아하여 상서의 오고에 비견될 정도의 유명한 금문입니다.
이 금문이 새겨져 있는 솥은 높이가 53.8센티, 직경 47.9센티이고 안쪽 둥근 면에 중환문으로 금문이 새겨져 있습니다.
청나라 말기인 도광 말년에 출토되어 여러 소장가의 손을 거치다가 전란 중에 국외로 유출될 것을 우려하여 중화민국 정부가 매입하여 현재 대만에 보관되어 있는 중국 국보입니다.
문자는 후기 금문 가운데서는 필획이 예리하고 우수한 것으로 글자체는 초기의 풍취를 가져 의고적이라고 평해지고 있습니다.
문장은 난해하나 주의 천자가 모공에게 정무를 맡기면서 기강을 확립하고 정치의 부흥을 명하는 책명의 전문을 기록한 것입니다.
<모공정 탁본>
서예술의 근원이 되는 한자의 시원을 밝히고 그 한자가 어떻게 문학, 회화와 더불어 문자예술로 자리잡게 되는지를 밝혀 보려는 저의 이 시도는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진행됩니다.
한자(漢字)의 발생(發生)과 형성전(形成展) 기획
1. 원시의 골짜기 甲骨文의 세계
1-1. 은 무정왕 갑골문
1-2. 은 부호왕비 갑골문
1-3. 은 말기의 갑골문
1-4. 갑골문 작품
2. 그림에서 태동하기 시작하는 殷 金文
2-1. 양마천시부정
2-2. 자복자요자룡
2-3. 거부신거어거집어
2-4. 제기차정부계
2-5. 소신존 금문
2-6. 소자 금문
2-7. 중자 금문
2-8. 극정 금문
3. 청동기에 새겨진, 철밥통 만큼 둔탁한 周金文
3-1. 周 무왕 대풍돈
3-2. 周 성왕 대보돈
3-3. 백자부돈
3-4. 세유 금문
3-5. 주공돈
3-6. 사송돈
3-7. 대돈
3-8. 국차첨
3-9. 대우정
3-10. 모공정
4. 大篆에서 小篆으로 가는 길목에 돌로 북을 만들어 石鼓文을 새기다.
석고문
5. 어지러운 세상 만큼이나 다양한 춘추전국시대 문자들
古文 金剛經
6, 소전으로 문자 통일
秦 驛山刻石 탁본
8. 隸書의 꽃을 피우는 한나라 석비들
8-1. 석문송 탁본
8-2. 을영비 탁본
8-3. 예기비 탁본
8-4. 조전비 탁본
8-5. 장천비 탁본
9. 위대한 書聖 王羲之의 출현과 行書, 草書
9-1. 행서- 난정서 탁본
9-2. 초서- 17첩 탁본
9-3. 초결가 탁본
10. 唐 諧書의 확립
10-1. 구성궁 예천명 탁본
10-2. 안탑성교서 탁본
10-3. 안근례비 탁본
'~~서예.수묵~~ > *** 서 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주 대돈 금문- 한자의 발생과 형성 (17) (0) | 2012.02.22 |
---|---|
[스크랩] 서주 금문의 대표작,대우정 금문-한자의 발생과 형성(18) (0) | 2012.02.22 |
[스크랩] 국차첨 금문-한자의 발생과 형성(19) (0) | 2012.02.22 |
[스크랩] 석고문,대전과 소전의 중간체-한자의 발생과 형성(21) (0) | 2012.02.22 |
[스크랩] 양사언선생의 초서 (0) | 2011.11.04 |